-----BEGIN PUBLIC KEY----- MIIBojANBgkqhkiG9w0BAQEFAAOCAY8AMIIBigKCAYEA1Zd8TfugqqOihJ0kK6fk S+hkYm0eIxYH5uE/UiUKzr4PUWTsk5w7J88AL5hOGEHb7FK6DfTE6YLxTZR5JxqD SP/bKFPzd+XDbqZwDRfWOI61EgS8uRKUqTx/u6Mm1BpT9FiVtVgZTMOdBsJm4+9D TxS7rLl2zZqXqlKvO/UoGIjPzQDnFIZDBLoAJOxI4q9CJ801zt47A3c5bLSGNYAI RB2J4/A4n/4EeKqNwReEf/Mpd/UhmVxZqf+PLEpFxE9/dmtsT1F1zPxuDTHJL4Hf 7wvyPnZzcwem2aTU2SQ28y8zdu/3NufGas1GPBPfkiy3eg9fWGFVHOAYW176gMGg iP/8JkuSGO8qE0/3VqW6w4kUJhKmi+bKVEz8e0Jx8E2yXexidTZWTnopS8kGn+bj 3nlLscrSq6Yyc3+zEy/YzqGCqvxl1qEkF1YHRlbDDJl0BA3MfcY3o9jEAq6L3pq5 U9+hhvGsYzJUnwPvGzpDPC41M0+p8GswlVhCZAmzc5z9AgMBAAE= -----END PUBLIC KEY-----
여성에게 가장 큰 변화, 임신과 출산은 중요합니다.
10~14주 | 1차 기형아 선별검사 - 목 덜미 뒤 목투명대 넓이를 측정해 3.0mm 이상일 경우 고위험군 |
---|---|
15~22주 | 2차 기형아 검사 - 산모의 혈액을 채취하여 태아와 연관된 성분 분석 - 다운 증후군 / 신경관 결손의 위험도를 분석하는 선별검사 - 고위험 판정을 받은 경우, 유전자 검사와 정밀 초음파 검사를 통해 확진 필요 |
24~28주 | 임신성 당뇨검사 - 임신으로 인한 호르몬 대사 이상으로 나타나는 질병 - 산모 : 거대아 출산으로 출혈증가, 감염증가, 높은 임신중독증 발생율, 출산 후 당뇨 - 태아 : 태아손상, 기형발생률 증가, 혈당이나 대사장애로 인한 주산기 사망 증가 |
뇌와 척추의 발육에 장애가 있는 선천성 기형의 일종입니다.
- 무 뇌 아 : | 두개골과 뇌의 이상으로 사산이나 출생 즉시 사망 |
- 척추 이분열 : | 척추에 생긴 결손으로 신체마비나 장기 기능의 부전을 초래하고 뇌수종이나 지능장애를 유발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