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----BEGIN PUBLIC KEY----- MIIBojANBgkqhkiG9w0BAQEFAAOCAY8AMIIBigKCAYEAqOJRIJntZOYVCAyf7jh7 YNL7VmRX74sfY9yCE6JfjTdsI86tWbc3DD+4JQI5iYfLJTXdFcZXlYcme63onQvP Nen6LQlKsnoOHvbA80Yfp7x+jtGaDe/KxdR4EOH7U2mCFu3VbAiUT/KFYLGGbzfG JNjLrwbOCUgj2Tx8rZeACLKHT5H1deZFUm0+ImcFYsxZRM/DDn//SM2GIQnTxBet F874bWOfQi/6zF6aa62JNP0jBuCD/wnOrjxM9tP1+Q8cMOFD7K4GHJ13sPkFIedN +femFxGiR0qVApzy0Px18/FoL3n07MNzM//aeXamJhJB4xqb/CNqpwBYaSEMvwAC 6OACiYDqz8DOu45ueQxBA1YK3C48u7zotHxUQ0c4LF2y+TDWskS0A0HO+1wT0ZNp Bq1hi+uNwsqc2KTBXc/WFzIlLHhzg+uTR26QTz7TcNDIddJhTPl7jMaeNejHN1os XmvwfFR/ueck70ASHL/Tpb4nfRj/k43vJQq7r5SfnCMdAgMBAAE= -----END PUBLIC KEY-----
여성에게 가장 큰 변화, 임신과 출산은 중요합니다.
10~14주 | 1차 기형아 선별검사 - 목 덜미 뒤 목투명대 넓이를 측정해 3.0mm 이상일 경우 고위험군 |
---|---|
15~22주 | 2차 기형아 검사 - 산모의 혈액을 채취하여 태아와 연관된 성분 분석 - 다운 증후군 / 신경관 결손의 위험도를 분석하는 선별검사 - 고위험 판정을 받은 경우, 유전자 검사와 정밀 초음파 검사를 통해 확진 필요 |
24~28주 | 임신성 당뇨검사 - 임신으로 인한 호르몬 대사 이상으로 나타나는 질병 - 산모 : 거대아 출산으로 출혈증가, 감염증가, 높은 임신중독증 발생율, 출산 후 당뇨 - 태아 : 태아손상, 기형발생률 증가, 혈당이나 대사장애로 인한 주산기 사망 증가 |
뇌와 척추의 발육에 장애가 있는 선천성 기형의 일종입니다.
- 무 뇌 아 : | 두개골과 뇌의 이상으로 사산이나 출생 즉시 사망 |
- 척추 이분열 : | 척추에 생긴 결손으로 신체마비나 장기 기능의 부전을 초래하고 뇌수종이나 지능장애를 유발 |